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악마가 초능력으로 인간의 정신을 흔들 수도 있겠지만, 악마는 서서히 사람을 좀먹기를 즐기는 듯하더군요. 그럴듯한 이야기를 계속 보여주며 사람을 홀리는? 악마의 무서운 점이 그런 거지요.
홍정기 작가와 <계간 미스터리> 79호 함께 읽기
D-29

무경
미나가
표지는 음
저 사람이 참 안됐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어요
직장인이 되어서 아침엔 간편한 시리얼과 우유를 먹고 매일 같은 시간에 출근하는 그런 소시민? 먹는 게 그 사람이라는 말도 있잖아요. 간편식만 먹는 저 사람의 머릿속엔 간편한 생각들로만 가득하고 꿈을 꾸는 동안에 그냥 쏟아져버리고 마는 것 같았어요.

홍정기
아침에 씨리얼 먹을 시간이라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ㅜ_ㅜ.
미나가
가장 기대되는 건
평소 좋아하는 작가님인 @홍정기 작가님의 작품입니다.

홍정기
안목이 높으시군요

무경
제 작품 속 악마 이야기에 여러 고전을 떠올리시는 듯해서 첨언합니다. 제 소양은 그런 깊고 묵직한 고전보다는 조금 더 얕은 지점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 작품에 나오는 악마의 모델은 테리 프레쳇과 닐 게이먼이 쓴 <멋진 징조들>과 C.S. 루이스의 <스크루테이프의 편지>에서 그 원형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악마가 좀 방정맞아 보이는 건 <멋진 징조들>의, 특히 그 드라마판의 영향이 꽤 있습니다. 한편 악마가 사람을 교묘하게 타락시키는 스토리는 체스터턴의 브라운 신부 시리즈에서 영향을 받았습니다.
미나가
와우 멋있으세요!

무경
어, 일단 질문이 딱히 없으신 듯해서 제가 직접(?) <치지미포, 꿩을 잡지 못하고>에 관한 썰 약간 풀겠습니다.
이 작품은 원래 '악마 연작'이라는 타이틀을 단 여러 작품 중 하나였습니다. 지하철에서 겪은 모종의 사건으로 '악마'라고 자신을 칭하는 자와 만난 '나'는 어느 이름모를 바에 들어가 술을 홀짝이며(그렇습니다, 그렇게 아드벡을 강매당한(?) 겁니다...) 악마의 자기자랑, 그러니까 어떻게 인간들을 교묘히 타락시켰는지 그 무용담(?)을 듣는다는 걸로 구성된 여러 편의 이야기를 구상했었어요. <치지미포, 꿩을 잡지 못하고>는 그 연작에서 가장 먼저 쓴 작품이었습니다.
참고로 이 연작은 두세 편의 단편과 그 부스러기를 남기고 사라져 버렸습니다. '악마'와 '나' 사이의 관계성을 어떻게 설정할까를 고민하다가 그만 거기서 막혀 버렸던 거죠.
이 작품의 제목이 된 '치지미포 계가비수(雉之未捕 鷄可備數)'라는 한자어는 현직 국어 교사인 친구가 알려줬습니다. 친구에게 '꿩 대신 닭'을 가리키는 사자성어 없냐고 물었을 때 저걸 가르쳐 줬거든요. 낯선 어감이 무척 맘에 들어서, 자칫 '꿩 대신 닭' 운운하는 제목이 될 뻔한 이 작품 제목이 현재의 것처럼 되었습니다. (그러고보니 그 친구를 감사인사 명단에 넣었어야 했는데...)

박소해
@무경 그런 사연이... ㅎㅎ
한자성어를 잘 몰라서 처음엔 제목이 어렵게 느껴졌는데 설명을 듣고 보니 내용을 잘 담은 제목이네요!

홍정기
아시모프가 쓴 소악마 아자젤과의 에피소드 단편집이 있는데 악마와의 대화로 이어지는 단편 모음집도 괜찮을 듯 합니다
조동신
악마와 나의 관계성, 악마가 나를 타락시키기 위해 일종의 정면 승부를 걸었다고 하면 어떨까요?

무경
네, 사실은 그걸 고려했었습니다. 그래서 악마가 자신이 남을 타락시킨 사연(...)을 퀴즈처럼 내고, 내가 그걸 맞추는 내기를 하는 거라는 설정을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그렇게 하려니 각 단편들의 어떤 포인트를 퀴즈로 낼 수 있을지, 거기서 막히더군요.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연작은 유야무야되었습니다. ㅜㅜ

박소해
@무경
오늘 <치지미포...>를 다 읽었습니다. 서두와 결말을 보아하니 처음에는 악마와 나의 대결을 염두에 두셨다가 다르게 수정하신 모양이군요. 즐겁게 읽었습니다. :-)
6.25와 위스키와 악마의 조합이라니. 아이디어가 참 좋았단 생각이 듭니다. 최근에 히라노 게이치로의 <한 남자>란 소설을 좋게 읽었는데 그 소설도 처음에 위스키바에서 두 남자가 나누는 대화로 시작합니다. 영화에서는 뒷부분에, 소설에서는 첫부분에 술집이 나오죠.
저는 등장인물들을 이렇게 치환해볼 수 있단 생각도 들었어요. 마상병 - 유혹, 박상사 - 양심, 윤소위 - 세속. 단지 6.25에 얽힌 악마의 경험담을 들려주는 이야기라기보다는 양심을 지키며 살아가기가 참 어렵다는 것을 들려주는 한 편의 우화같이 읽히기도 했습니다. 애쓰셨습니다. ㅎ 제목이 처음엔 어렵게 느껴졌는데 뜻을 알고 나니 정감이 가네요. ^^

무경
즐겁게 읽어주셔서 무엇보다 다행입니다^^
등장인물에 대한 해석에 공감했습니다. 노골적인 우화는 아니지만, 각 인물이 어느 정도는 그런 속성을 대표하고 있지요. 사실 사건의 배경이 한국전쟁 당시의 지리산 어딘가로 제시되었지만, 배경을 다른 곳으로 옮기더라도 비슷한 이야기는 벌어질 법합니다. 이야기를 쓰면서 인간과 세상사의 특수성과 보편성 사이를 계속 저울질해 나가며 고민하는 게 제게 주어진 과제이자 업보 같습니다. 평가 감사드립니다.

박소해
@무경
평가라니요... 감, 감상이었습니다. ^0^

보라구름
우여곡절 끝에 오늘 책이 도착했습니다! 늦었지만 합류할게요~

홍정기
반갑습니다 😁

엘데의짐승
치지미포... 꿩대신 닭? (처음 들어보는 고사성어네요.. 하나 배우고 갑니다. )이라 내용중에 언급되지만 저는 다 읽고 난 후 닭대신 꿩이라고 평하고 싶습니다. 결국 닭이라도 잡으려 했는데 꿩들을 잡아간 격이니까요.
윤소위는 어느정도 유혹에 걸려들거라 생각이 들었고 결국 그런 선택을 하게 되었다지만, 박상사까지 그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결말은 다소 충격이었습니다. 그는 인간성과 양심이 앞섰다고 생각했지만 결국 윤소위에 대한 불신이 확신(자 신을 해할거라는?)으로 바뀌게 되었으니까요.
결국 '악은 통제된 욕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욕망은 통제되지 않으면 겉잡을 수 없이 커지니까요. 그렇게 되면 더더욱 통제할 수 없으니까요..
별개로
치치미포를 읽고나니 영화 데블스 애드버킷의 그 알 파치노가 떠오르면서 뭐랄까 어떻게 이 먹잇감을 요리할까?하면서 그 능숙한 표정과 말주변으로 악마의 손을 건네는...그 연기와 상황이 떠올랐습니다.

무경
감상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선하게 보이는 자도 어떤 계기로 타락할 수 있다는 게 무척 두려운 일이지요. 만약 전쟁이 아니었다면 박 상사는 계속 자신의 양심을 지킬 수 있었을까요? 작가로서 문득 그런 의문을 가져 보았습니다...

홍정기
영상화한다면 알파치노가 ㅎ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