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노북스/책증정] 불안, 부담, 자책과 이별하는 실전 심리학 <애쓰지 않는 기술> 읽기

D-29
2장 사랑의 기술 잘 읽었는데요. 사랑하는 사람을 <여행의 동반자>로 여기는 커플이 관계가 오래간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연인 사이뿐만아니라 모든 인간 관계에서 적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3장은 일의 기술을 다루었는데, 목표보다 계획을 공개하라는 글이 좋았습니다. 자신의 목표를 주변에 공언하는 것이 좋다는 말은 들었는데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하는 것이 실천 동기부여에 더 낫다는 것이 설득력있었습니다. 4장은 행복의 기술이었는데, <야식이 당길 때는 눈부터 붙여라>에서 잠이 부족할 때 식욕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건강한 식습관의 적인 야식을 끊고 잠을 충분히 자야겠다는 생각했습니다.
그 순간의 풍경, 소리, 향기에 집중하라 인간의 주의력은 한계가 있어서 잡다한 일이 너무 많으면 눈앞에 있는 아름다운 것을 보지 못하고 지나친다. 여행을 하거나 공연을 관람할 때 모든 장면을 다 기억하고 싶다는 이유로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데 집중하다 보면 세세한 아름다움을 놓쳐 버린다. 또 카메라는 시각적으로만 기록할 수 있지만 우리 기억은 시각 정보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신비한 두뇌는 청각, 후각, 촉각, 심지어 감정까지 모두 저장한다. 그러므로 사진 찍는 데만 집중하다 보면 그 순간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을 놓치게 된다. 너무 아깝지 않은가? 다음 여행에서는 카메라를 내려놓고 눈과 마음으로 아름다움을 느끼는 시간을 늘려 보는 것은 어떨까?
애쓰지 않는 기술 p.207, 차이위저
목표를 주위에 알리는 경우 타인의 칭찬과 응원을 듣게 되고 그것만으로도 만족감을 느끼며 마치 목표가 이미 이루어진 듯한 착각이 든다.
애쓰지 않는 기술 p.160, 차이위저
'용서의 법칙' 부분을 인상 깊게 읽으신 분이 많네요. 마음의 상처가 작더라도 하나둘 쌓이면 어느새 꽤 크게 느껴지고, 없애기가 쉽지 않은데요. 응어리진 마음을 스스로 풀 수 있게 된다면 조금 더 사는 게 수월해질 것 같습니다. 2~4장 이야기를 나누어주신 분도 계신데요! '사랑의 기술', '행복의 기술', '일의 기술' 파트에서 인상적이었던 부분이 있다면 자유롭게 나누어주세요:) 책에 있는 48가지 '애쓰지 않는 기술' 중 실전에 적용해본 것이 있다면 나누어 주셔도 좋겠습니다. 저는 추석 때 여행을 다녀왔는데 '카메라의 주의력 분산 효과'를 떠올리며 이번 여행에서는 사진을 찍는 대신 눈에 많이 담아보려고 노력했어요. 확실히 두 눈으로 오랫동안 바라본 풍경과, 뺨에 스치는 바람의 촉감이 더 오래 기억에 남는 것 같습니다.
목표를 주위에 공개하고 자주 선언하듯 살아가면 뱉은 말 때문에 목표를 이루려고 더 열심히 할 거라 생각했지요. 근데 이 대목을 읽고 나니 어쩌면 자기 위안에 지나지 않았구나 싶습니다. 정말 내적인 추진력이 강한 사람은 조용히 꾸준하게 자신이 할 것을 찾아 해나가는 사람인 것이겠죠. 허공에 울리고 끝나버리는 꽹과리 같은 사람이 되지 않아야 하겠습니다.
저는 2장 사랑의 기술에서 문간에 발/머리 들여놓기요. 사적인 관계 뿐 아니라 여러가지 일들에서 아니다 싶을때 명심하고 역으로 적용하면 나를 지키는데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아서 좋았습니다:)
사람은 친한 사이일수록 상대의 이해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자기도 모르게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소통하게 된다. 친하다는 이유로 묵계에 의존하며 상대가 당연히 자기 생각을 알 것이라고 자만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친한 관계가 오히려 소통의 오류를 낳는 원인이 된다.
애쓰지 않는 기술 p.103, 차이위저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가족, 친구, 연인 관계에서 너무 나 중심적으로만 행동한 건 아닌지 늘 염두하며 살아가야 겠다고 느꼈네요. 늘 함께하는 사이일수록 이런 점을 놓치기 쉬운데, 계속 상기시키면서 지내보려 합니다.
저도 이 문장이 와닿았습니다. 은근히 실천하기 어렵습니다. 어제 서울둘레길 북한산 코스 돌면서 제가 주로 사진찍었는데 자제하고 동행인들에 사진부탁하고 저는 눈에 담아보았습니다. 확실히 산행이 더 풍성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풍경을 눈에 담는 연습 해야겠습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밀리의 서재로 📙 읽기] 23. 종이 동물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