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딱딱하다기 보다는 쓸쓸하고 묵직한 울림이 있는 문장들로 읽었어요
[박소해의 장르살롱] 3. 모든 것의 이야기
D-29

여랑

박소해
@김형규
<모든 것의 이야기>에 대한 제 첫 질문에 답변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윤명한
저는 제가 경찰이라 그런지 경찰이 나오는 이야기도 재밌었지만, <코로나 시대의 사랑>이 제일 재밌었어요! 대면하지 않아도 만들어지는 여러 사랑의 모양이 느껴져서요.
이지유
오! 경찰이시군요. :)
김형규
제 가장 친한 친구님도 <코로나 시대>를 젤 좋게 보더라고요. 희망적이기도 하고, 단절 속의 연대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면서요.

미스와플
저도 사실 그랬답니다. ^^
이지유
저는 작가님의 '꾸미지 않는' 문장이 좋았습니다. 악세서리를 하지 않은 느낌이요.:)
김형규
네. 부사나 형용사를 최대한 줄이려고 하는 편이에요. 단어로 구체적인 형태나 행위를 묘사하는 것이 굳이 필요할까 싶기도 해서요.

박소해
@김형규
저도 부사와 형용사를 줄이려고 애를 쓰는 중인데, 작가님 문장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깊이와 맛은... 작가님만의 지문 같은 특징이란 생각이 듭니다. :-)
김형규
박소해 작가님도 그러실 거예요. 문체라는 건 지문 같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박소해
@이지유
동감합니다.
사람으로 비유하면... 겉치장을 하지 않았으나... 호감이 가는 인상 좋은 청년 같은 느낌? ㅎㅎ
김형규
^^

무경
작가님의 문장 때문에 혹 소설 전반이 딱딱하고 무겁게만 읽힐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거기에 환상성? 비현실적? 그런 장면이 슬쩍 더해지니 문장의 힘이 오히려 압도적으로 강렬하게 다가왔습니다.

박소해
@무경
동감합니다. 만약... 이 스타일의 문장이 아니었다면 몇몇 단편은 상당히 난해하게 느껴졌을 수도 있습니다.
김형규
위에 나누신 말씀들을 보니, 표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네요. 표지는 출판사에서 의뢰한 디자이너 분이 원고를 다 읽고 만드셨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액자'가 아니라.. '문'이래요.

미스와플
문이요. 작가님께서는 밖으로 나가는 문으로 보네요, 아니면 들어가는 문으로 보세요?

나비클럽마케터
와 생각해보지 못한 질문이네요👍🏽
김형규
제가 보기엔... 흠... 막힌 문 같아요^^ 갇혀 있는 느낌? 근데 제가 쓴 글들은 어찌 됐든 더 나아가라는, 나아가 보는 것도 괜찮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긴 합니다.

박소해
@김형규
아, 작가님이 참여해주신 덕분에 이제야 정답을 알았군요... 문이었군요. ^^

Henry
역시, 문이 맞았군요!
모임이 있어서 실시간 참여를 못해서 아쉬웠는데, 이렇게라도 대화들을 따라가는 맛도 제법 좋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