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피겔 님 어서 옵서예 ㅎㅎㅎ 그래도 너무 늦지 않게 잘 들어오셨어요.
[박소해의 장르살롱] 3. 모든 것의 이야기
D-29

박소해

슈피겔
@박소해 넵 환영 감사합니다 작가님~~
김형규
대림동에서 살고 사무실도 거기 있었는데, 새벽에 퇴근하다 보면 싸우는 사람들도 많고 경찰 출동도 많고 그랬네요. 그때 보고 들었던 이야기들이 <대림동>에 살짝씩 들어 있기도 합니다.

박소해
@김형규
역시 “잘 쓰는” 작가는 그 어느 하나도 허투루 넘어가는 법이 없나 보군요. 살아가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소재가 되는 거로군요. :-)
marty
전 글 하나하나 읽으면서 작가님 인생 모든 것의 일부를 알게 된 것 같은 느낌이었어요~
그래서 페이지가 넘어갈수록 딱딱함은 오히려 견고하게, 쓸쓸함은 조금 누그러졌죠.
분명 소설로 시작을 했는데 어느 순간 문득 생각을 적어 놓은 일기도 같이 본 기분이었습니다 :)
김형규
네, "저의" 모든 것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제가 "쓰고 싶던" (거의) 모든 것의 이야기이긴 했어요^^

슈피겔
저도 봉천동에 오래 살아서 그런지 나오는 동네가 매우 익숙했습니다. 대림동은 일전에 처남네가 잠깐 살았어서 몇번 가본적이 있어서 소설을 읽을 때 상상이 잘 되더라구요. 대림동 골목 처음 갔을때의 그 낮설음.. 아직도 느낌이 생생합니다.
김형규
저도 십여 년 전 처음 대림동에 와보았을 때 정말 놀라웠어요. 서울에 이런 지역이 생겼구나..!

여랑
<구세군>에서는 노동과 SF를 연결했다는게 저로서는 새롭고 놀라웠어요. 어쩌면 너무도 자연스럽게 다가올 미래의 모습일지도 모르는데.... 그리고 아까 문장 인용도 했지만, '제 뒷사람이 되시죠'가 저에게 울림이 컸습니다. 앞에서 분투해간 활동가들을 잘 따라가며 또 누군가의 앞이 되며 막아주어야 할텐데라는 책임감이 크게 느껴졌어요.

여랑
제가 감동받았다는 걸 작가님이 기억해주시면 좋겠어요 ㅋㅋ
김형규
네! 감동을 드렸다니 제가 더 감사합니다^^ 구세군은, 처음부터 SF를 쓰겠다는 생각은 아니었고, 세상을 구하는 것, 구원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는데, 결국 근미래의 기본소득 이야기로 가게 되었습니다.

박소해
@여랑
어... 그 대사를 특별히 인용하신 이유가 있었군요. :-)

무경
대림동은 제게는 어쩌면 잘 알 수도 있었을, 하지만 결국엔 거의 가 본 적 없는 낯선 동네이긴 합니다. 그래서 여러 대중 창작물의 이미지에 고정된 듯하고요. 작가님의 작품 속 그곳은... 결국 사람 사는 곳은 다들 같구나(?)라는 묘한 감상을 불러왔습니다.^^
김형규
네 k 또는 "란"(작품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경찰관의 이름입니다)의 이야기는 저도 더 쓰고 싶습니다. 연쇄범죄물(?) 같은 것이 될 수도...

이지유
오...저는 좋습니다.ㅎㅎ^^

소망1018
네 기대합니다. ^^ 영화로도 찍었으면 좋겠네요

박소해
@김형규
후후. 공약(?) 비슷한 것을 쟁취한 느낌입니다. ^^

이지유
k의 단편이 나와도 좋을 것 같기도요.^^

무경
이렇게 장편 쓰시라고 부추김당하면... 언젠가 쓰시겠지요! ㅋㅋㅋ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