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저도 처음에 읽었을 때 들었던 생각이에요~~ 궁금합니다 :)
[박소해의 장르살롱] 3. 모든 것의 이야기
D-29
marty

파랑나비
@슈피겔 좋은 질문이요. 궁금했는데, 묻지 못했던 걸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김형규
특별한 이유는 없었습니다. (진지하게) 저의 잠재의식 속에 무언가 이유가 있었을 수는 있겠지만요. 그리고 저는 시공간이 뒤에서 앞으로, 과거에서 미래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지금-여기 펼쳐져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래서 우리가 과거라고 믿는 것과 미래라고 믿는 것이 사실 함께 "있다"고요. 그런 점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배치가 큰 의미가 없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박소해
@김형규
지금 이 말씀은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나 그 소설을 원작으로 한 <어라이벌>이란 영화에 나오는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외계종족을 떠올리게 하네요.
어떤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시간순의 배치가 의미가 없었다는 이야기시군요.
김형규
네.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는 저도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그 작품에서 직접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대중적인) 물리학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해서 그런 생각을 가지게 된 것 같아요.

Henry
@박소해 작가님의 sf 기대합니다!!

Henry
이야기를 어떤 적절한 형식에 담아내느냐의 문제이지, 본질은 이야기라는 말씀, 많이 공감됩니다. 그 이야기의 샘이 끊임없기를 지지하며 응원합니다!!

슈피겔
아 그렇군요! 의미가 없다는게 저에게는 더 의미로 다가오네요 ㅎ 실제 시간이 과거에서 미래로 흐른다는건 인간이 정의한 것일 뿐이라는 이야기를 담은 교양과학서적인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가 생각이 나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박소해
@모임
아까 여랑 님이 조금 괴로워(?) 하셨는데... 이제 <구세군> 이야기를 해볼까요?

미 스와플
구세군. 너무나 멋진 소설이었습니다. 세상은 더 미쳐버렸고 교묘하게 사람을 지배하게 되었는데 언제 어떤 시대라도 바꾸려 움직이는 사람이 있고 목숨을 걸고 지키려는 사람과 사람의 이야기가 인상깊었습니다
김형규
목숨을 건 싸움, 세상을 구하는 싸움, 이런 주제를 쓰고 싶었거든요. 어쩌면 미래를 배경으로 하지만 과거의 이야기일 수도 있고요. 구한다는 것은 무엇이고, 가능한지, 필요한지, 그리고 왜 내가? 이런 질문들을 지난 시대의 기억과 경험 속에서 묻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박소해
@김형규
아... 그래서 <구세군>을 쓰게 되신 거였군요.
궁 금한 게 좋아하는 sf 작가가 있다면? 작가님 단편에서... 치열한 독서의 흔적이 엿보입니다만...
김형규
단연 테드 창입니다. 듀나도 좋아하고요.

박소해
@김형규
후후 테드 창 좋아하실 줄 알았습니다...
사실은 저도 그렇습니다. (수줍)
듀나 작가님 작품집도 즐겨 읽는 편이고요.
첫 사랑은 아시모프입니다. ^^ 초등학교 때 파운데이션 시리즈로 시작했어요 ㅋㅋ
김형규
저도 어릴 때 아시모프부터 읽었어요~ 반갑습니다^^

박소해
아시모프의 로봇형사가 저를 에스에프에 입문시켰지요 호호호;;;;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