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을 이해하고, 이야기를 해 보는 모임

D-29
안타깝게도 생태계가 붕괴되기 시작하는 티핑 포인트는 평균 pH7.8입니다. 2100년에 전 세계 해양이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수치이지요
여섯 번째 대멸종 p.178, 엘리자베스 콜버트
이 지역을 연구해 온 지질학자들에 따르면 못해도 수백 년 전부터 카스텔로 아라고네세의 분출공이 이산화탄소를 뿜어내고 있다고 한다. 더 낮은 pH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홍합, 따개비, 용골 벌레가 있었다면 이미 그렇게 했을 만한 시간이다. 홀스펜서가 말했다. "수 세대를 거듭하는 동안 적응해보려고 했겠지요. 그런데도 살아남지 못한 겁니다"
여섯 번째 대멸종 p.184, 엘리자베스 콜버트
화제로 지정된 대화
[7장. 중독된 바다] 1. 제2생물권(BIosphere2)은 무엇이며, 이 인공생태계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건 또는 이후의 연구 등에 대한 감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2. 산호초를 '바다 버전의 사하라 사막 한가운데 있는 열대 우림'으로 표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3. 해양산성화를 포함해 산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떤 것이 있나요
1. 제2생물권이란 실험자 스스로 갇혀 자급자족으로 생활하도록 설계한 인공 생태계로, 미국 아리조나에 설치했었는데 2년 간의 실험은 이산화탄소-산소 광합성 및 분해 간 불균형으로 실패하였습니다. 얼마나 지구의 조건을 인공적으로 재창조(reproduce)하기 어려운지, 자연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얼마나 불완전한지를 보여주는 실험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2. 산호초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다양성이 열대우림에 버금가기 때문입니다. 최소 50만 종, 최대 900만 종의 생물이 그 생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산호초에서 보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흥미롭게도 산호초가 형성되는 열대 수역은 대부분 생물에게 필수적인 질소, 인 등의 영양소가 부족한 경향이 있어 육지의 사막에 비유할 만 한데, 역설적이게도 이 지역에서 형성되는 산호초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입니다. 이 현상은 '다윈의 역설 Darwin's Paradox'로 알려져 있습니다. 3. 기후변화(수온 상승으로 인한 백화현상), 어류 남획(산호와 경쟁 관계에 있는 조류를 과잉 성장하게 함), 삼림 파괴(토사 침착과 물의 투명도 악화를 초래함), 폭약 어로 등등
지금 나는 연구자로서 가장 생산적이었던 시절 대부분을 경이로운 해저의 풍요로움 속에서 보낼 수 있었다는 사실을 겸허히 여기며 우리 자녀의 자녀 세대는 그러한 바다를 누릴 수 없을 것이라고 단연코 확신한다.
여섯 번째 대멸종 p.204, 엘리자베스 콜버트
해양 산성화는 지구 온난화의 "쌍둥이 악재"로 일컬어지곤 한다. 지구 온난화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익히 들었으므로 해양 산성화를 그에 비하는 데 대한 의문이 생길 수도 있지만, 오히려 이 비유가 충분치 않을 수도 있다. (...) 해양 산성화는 5대 멸종 중 적어도 두 번 - 페름기 말과 트라이아스기 말 - 의 대멸종의 주요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여섯 번째 대멸종 Ch.6 우리를 둘러싼 바다, 엘리자베스 콜버트
인류는 땅속의 석탄과 석유를 꺼내 태움으로써 수천만 년 이상 - 대개는 수억 년 동안 - 격리되어 있던 탄소를 대기 중에 되돌려놓고 있다. 그것은 지질사를 거꾸로, 그것도 초고속으로 되돌리는 일이다.
여섯 번째 대멸종 Ch. 6 우리를 둘러싼 바다, 엘리자베스 콜버트
세 명의 영국의 과학자는 산호초에 관한 공동 저서에 이렇게 썼다. "산호초는 특정 생태계 전체가 멸종에 이르는 현시대 최초의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여섯 번째 대멸종 Ch.7 중독된 바다, 엘리자베스 콜버트
화제로 지정된 대화
[8장. 숲과 나무] 1. 일반적으로 생물의 다양성은 극지방일 수록 빈약하고, 저위도 지방으로 갈 수록 풍부하다고 합니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2. 버남숲Birnam Wood 시나리오와 종-면적 관계Species-area relationship은 무엇이며, 어떤 관련이 있나요 3. 숲의 나무가 산호와 같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인가요
[8장. 숲과 나무] 1. 일반적으로 생물의 다양성은 극지방일 수록 빈약하고, 저위도 지방으로 갈 수록 풍부하다고 합니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학계에서는 이러한 경향성을 위도에 따른 다양성의 기울기(latitudinal diversity gradient)라고 합니다. 여러가지 이론적 설명이 있습니다. 1.열대지방에서 진화의 시계가 더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세대의 수가 많아져서 새로운 종 출현가능성도 증가), 2. 열대생물의 온도민감성으로 개체군이 더 쉽게 격리되고 그 안에서 종 분화가 발생, 3. 열대 지방 생물군의 역사가 오래되어서 등의 설명이 있습니다. 2. 버남숲Birnam Wood 시나리오와 종-면적 관계Species-area relationship은 무엇이며, 어떤 관련이 있나요 버남숲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따라 각 구역의 수종들이 더 높은 곳으로 이동(종자를 퍼뜨리는 방식으로)할 것이라는 시나리오입니다. 종-면적 관계는 생태학의 몇 안되는 보편적인 법칙 중 하나로, 표집 면적이 넓을수록 더 많은 종을 만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004년 한 과학자 그룹은 종-면적 관계를 사용하여 지구 온난화로 인한 멸종위험 추산치를 계산해봅니다. 버남숲 시나리오처럼 생물종의 높은 이동성을 가정해도 결국 많은 종이 사라져버린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기온 상승으로 익숙했던 환경이 아예 사라져버리기도 하고, 고지대로 옮겨간다고 해도 기슭에 비해 면적이 좁아서 서식지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3. 숲의 나무가 산호와 같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인가요 숲이 산호초 처럼 주변의 생물들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자체적인 생태계를 형성한다는 의미입니다. 숲에는 특정 곤충, 조류, 식물이 서로 의존하여 살아가고있습니다. 실먼 박사의 연구는 지구온난화가 이러한 생태공동체의 재편을 야기할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무는 놀라운 존재입니다. 매우 아름답기도 하지만, 그 이상의 뭔가가 있지요. 숲에 발을 들이면 나무의 크기가 먼저 눈에 띄겠지만, 그 나무의 생애를 생각해보세요. 그만큼 사라기까지 나무가 겪었을 모든 것을요.
여섯 번째 대멸종 p.218, 엘리자베스 콜버트
실먼의 연구는 지구 온난화가 적어도 생태 공동체의 재구성을 초래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나무들은 종류에 따라 기온 상승에 다르게 반응할 것이고, 따라서 종들 사이에 맺고 있는 현재의 관계가 무너지고 새로운 관계가 형성될 것이다.
여섯 번째 대멸종 p.245-246, 엘리자베스 콜버트
책이나 보고서 등에서 글로만 읽을 때에는 먼 역사 이야기 같은데, 실제로(현재) 발생하는 일로 체감하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인 것 같아요. 최근 가디언지에서도 미국내 절멸종 관련 기사가 있는데요. 이미 멸종되어 사라진 21개의 종을 멸종위기종보호법(Endanged Species Act) 목록에서 삭제했다고 합니다.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3/oct/17/extinct-species-removed-endangered-species-act?utm_term=65310c34cfeefbe72bf5d6542149a0e4&utm_campaign=DownToEarth&utm_source=esp&utm_medium=Email&CMP=greenlight_email
'생물다양성 보전'은 일종의 '동물권 보호'와 같은 의미일까요?
제 느낌적인 느낌에는 생물다양성 보전이 훨씬 넓은 개념 같은데, '동물이 살아갈 권리를 보호한다'는 면에서는 통하는 면이 있다고 생각해요. 생물다양성은 우선 동식물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기도 하고, 동물권이 개별 개체의 권리에 관한 이슈라면 생물다양성은 우리가(인간도 포함된다고 생각해요) 모두 연결되어있다는 인식하에 생태계 자체가 붕괴하지 않도록 종 다양성을 보전해야된다. 이런 느낌이 듭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9장. 육지의 섬] 1. 이완(relaxation)은 무엇인가요, 왜 고립은 다양성을 떨어뜨리게 되나요 2. 멸종 부채(extinction debt)와 환경스와프(debt-for-nature swap)는 무엇인가요 3. 단편화와 기후변화는 어떤 관계에 있나요
[9장. 육지의 섬] 1. 이완(relaxation)은 무엇인가요, 왜 고립은 다양성을 떨어뜨리게 되나요 고립된 환경(섬)에서 종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것 면적이 좁으면 개체수가 적어지고, 개체수가 적어지면 확룰적으로 위협에 취약하게 됩니다 ㅡ 개체군 밀도가 낮아지면 남아 있는 개체의 생존률도 줄어든다는 앞장에서 배운 앨리 이펙트가 생각나네요.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한 개체군이 사라져도 다른 개체군이 그 자리를 메울 수 있지만 섬이라는 환경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종이 줄어들게 됩니다. 2. 멸종 부채(extinction debt)와 환경스와프(debt-for-nature swap)는 무엇인가요 멸종부채 : 어떤 환경변화로 멸종위기에 처한 종의 숫자와 실제로 사라진 종의 숫자 사이의 차이 환경스와프: 민간은행에서 개도국에 대한 채권을 할인하여 취득하고, 이것을 개도국의 현지통화로 된 채권으로 교환하며, 이를 재원으로 하여 개도국 정부나 현지의 자연보호단체가 기금을 만들어 환경보호정책을 실시하거나, 중요한 자연보호구역의 설정 등 자연보호활동을 실시토록 하는 것을 말한다. (네이버 검색) 3. 단편화와 기후변화는 어떤 관계에 있나요 둘 간에는 부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다. 기온 상승에 따라 서식지를 옮겨야 하는 종이 단편화된 숲에 갇히면 이주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런던동물학회의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등재된 무척추동물 중 보전 상태를 알고 있는 경우는 1%도 안 되며" 무척추동물 대부분은 등재조차 안 되어 있다.
여섯 번째 대멸종 p.269, 엘리자베스 콜버트
산호초는 바다의 열대 우림이라고 불리곤 한다. 생물의 다양성의 측면만 놓고 보자면 적절한 비유다. 산호초의 어느 부분을 들여다보든 거기에 서식하는 생물 종 수를 헤아려보면 깜짝 놀랄 것이다. 한 호주 연구자가 배구공 크기의 산호 군체를 해체해 조사한 결과 그 안에는 103개의 서로 다른 종에 속한 1400개 이상의 다모류 개체가 살고 있었다. 더 최근에는 미국 연구자들이 산호 덩어리를 열어 갑각류를 조사했는데 헤론섬 인근의 산호초 1제곱미터에서 100종 이상, 비슷한 크기의 그레이트배리어리프 북단의 산호초에서는 120종이 넘는 갑각류가 발견되었다. 최소 50만 종, 최대 900만 종의 생물이 그 생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산호초에서 보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 산호초-정확히 말하면 산호초에 군생하는 생물들-가 한 생물군에서 다른 생물군으로 영양소를 전달하는 시스템은 마치 초대형 물물 교환 시장처럼 효율적으로 운용된다. 산호는 이 복잡한 교환 체계에서 핵심적인 행위자인 동시에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즉 산호가 없었다면 그곳에는 바다버전의 사막만 존재했을 것이다. 칼데이라는 이렇게 말했다. “산호는 생태계의 건축가입니다. 그러니 산호가 사라지면 그 생태계 전체가 사라지는 건 자명한 일이지요.”
여섯 번째 대멸종 p. 206-207 ch7. 중독된 바다 , 엘리자베스 콜버트
다시 한번 말하지만, 관건은 속도다. 오늘날의 온난화는 마지막 빙기를 비롯하여 이전의 모든 빙기 말에 일어났던 것보다 최소 10배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여섯 번째 대멸종 8장. 숲과 나무, 엘리자베스 콜버트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