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믐밤] 16. 하루키 읽는 밤 @수북강녕

D-29
@구수박 꾸준히, 그리고 멋지게 달리기를 해내는 하루키 본인의 모습에 매력을 느끼고 존경을 표하시는 분이 많은 것 같아요 참여하는 독서모임에서 1년 가량의 기간 동안 매월 하루키 소설 1권, 에세이 1권을 읽는 모임을 했었어요 그때 많이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다시 살펴보니 아직도 못 읽은 작품들이 있네요 오랜 기간 꾸준히 집필 활동을 해온 작가예요 역시...
와~ 1년이면 소설 12권, 에세이 12권이네요. 대단하셔요. 하루키의 근면하고 성실한 작품 활동도 참 존경스러운 부분이지요. 금전적인 부분만 생각하면 사실 더 안 해도 되잖아요. 유유자적 신비로운 예술가로 남아도 될 텐데 이렇게 끊임없이 작품 활동을 이어간다는 것이 멋져 보여요.
그리고 수북강녕님은 정말 정말 하루키 책을 많이 읽으셨구나, 감탄했어요. 그 내공이 이 질문에서도 확 느껴져요+_+
<렉싱턴의 유령>에 수록된 단편의 주인공 토니 다키타니가 생각납니다. “토니 다키타니의 진짜 이름은, 정말로 토니 다키타니였다” 라는 단편의 첫 문장이 떠올랐습니다. 하루키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이 그러하듯이, 토니 다키타니도 고독한 인물인데요. 그의 이질적인 이름이 그가 감내할 고독함을 예고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한 사람이 한 사람을 깊게 사랑하고 그 사람이 떠나가자 남겨진 인물의 이야기라는 하루키 소설에서 반복되는 스토리라인도 가지고 있는 소설입니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모습을 이미지화 해서 기억하는 편은 아닌데, 토니 다키타니의 경우엔 다르더라구요. 토니 다키타니를 떠올리면 죽은 아내의 드레스룸 방바닥에 주저앉아 그녀가 남긴 옷들을 멍하니 바라보는 한 중년남성의 모습이 생각납니다.
@동키돈키 토니 다키타니의 독.특.한. 이름에 대한 설명이 작품 앞부분에 나오는데, 그게 '그가 감내할 고독을 예고'하고 있었던 거군요... 뭔가, 채워지지 않는 갈망을 옷 쇼핑으로 갈구하던 어린 아내와, 같은 사이즈 옷을 입도록 고용되었던 젊은 여자와, 아내의 옷뿐 아니라 아버지의 레코드까지 모두 처분해 버린 후 '진짜 외톨이'가 되어버린 토니 다키타니까지, 서로 이해하기도 어렵고 외로움을 해소하기도 어려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루키 책 모임이 또 있었네요~ 뒤늦게나마 슬쩍 끼어봅니다ㅎㅎ 저는 사실 하루키 책을 신작을 제외하면 읽은지 너무 오래되어서... 이제 기억이 다 가물가물해요ㅠㅠ 그럼에도 인상깊은 캐릭터가 한명 있는데요. 바로 이전 작품 <기사단장 죽이기>의 백발 남자 입니다. 이름을 까먹었어요. 혹은 이름이 없고 그저 '남자'로 소개되었는지도 모르겠네요. 하루키 소설 속 캐릭터들은 분명히 특출난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 같은데도 머릿속에 오래 각인되는 느낌입니다. 그 캐릭터의 행동이나 말이 기억되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 그 자체가 기억에 남아요. 참으로 신기합니다.
@북카페안온 독서모임에서 닉네임을 정할 수 있다면 대문호 하루키의 이름으로 ^^ 하고 싶다고 말씀하셨던 안온님, 안녕하세요~? 혹시, 돈많고 화통한? 멘시키를 말씀하시는 걸까요 ^^ 『기사단장 죽이기』에서는 떠난 아내, 연상의 불륜녀, 이상한 말투를 쓰는 기사단장, 조숙한 소녀 등이 떠오르지만, 가장 중요?한 조연 중 하나가 멘시키이지요 예전 작품 가운데 『댄스 댄스 댄스』의 고탄다를 혹시 아시는지요 저는 멘시키의 호탕한 경제력? 등등이 어쩐지 고탄다와 조금 닿아 있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하루키가 주로 '장인'이나 '손윗 처남'으로 등장시키는, 전후 사회에서 기회를 잡아 (군수 사업 따위로) 재력을 쥐게 된 중년 남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는 편인데, 돈많고 성공한 사람 중에서도 이해심이 많고 화통한 스타일로는 멘시키와 고탄다가 떠오릅니다 어떤 점이 인상깊으셨는지도 궁금합니다 ^^
아! 멘시키!!! 이름 들으니까 번쩍 떠오르네요ㅎㅎ 사실 읽은 지 오래되어 인상 깊었던 거라곤 강렬한 백발이라는 것 말고는 없어요. 주인공이 그 백발에 홀리듯 쳐다봤다는 것 정도랄까요. 백발 그게 뭐라고... 싶은데 하루키가 쓰면 참 독특하고 매력적인 캐릭터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멘시키의 말투나 행동도 강렬했지만 역시나 그 백발! 백발이 이상하게도 선명하게 기억되고 있어요ㅎ
맞네요. 백발! 그 머리와 어울리는 은색 재규어를 타고 다녔죠. 소설 초반에 임팩트가 엄청났던 인물로 기억합니다. 돈도 많고 뭔가 독특했던, 매력적인 인물이었어요.
@김새섬 재규어 E-타입, 재규어 XK,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구형 미니 쿠퍼, 대형 인피니티 세단... 헉헉 『기사단장 죽이기』에서 멘시키가 갖고 있는 차가 이렇게 나온다고 합니다~! (반면, 이 작품의 주인공은 낡은 빨강 푸조 205를 타다가 중고 토요타 코롤라 왜건으로 갈아타는 걸로 나오는 ㅎㅎ)
역시나 저는 와타나베가 인상적이네요. <상실의 시대>를 제일 먼저 읽어서 그랬던 것 같기도 하고 사실 다른 소설의 주인공들이 전부 비슷비슷하게 느껴져서 와타나베2, 와타나베3 같기도 하거든요. 일례로 지금 읽고 있는 <도시의 그 불확실한 벽> 의 주인공도 와타나베가 조금 나이든 버전 같고요.
소설보단 <먼 북소리>의 하루키가 제 마음에는 많이 다가옵니다. 79년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데뷔하고 81년에 전업작가로 돌아선 하루키는 점차 이름을 얻어가면서 소설 이외의 다른 요청들로도 본격적으로 바빠지기 시작했나 봅니다. 광고와 강연 요청이 들어오고 잡지에 싣기 위한 나만의 요리를 선보여야 하고 무슨 대회의 심사위원이 되어달라고 하고요. 대담 자리에도 초대를 많이 받는데 “성 차별이며 환경오염이며 죽은 음악가며 미니스커트의 부활이며 담배 끊는 법 등에 대해서 이야기하라고 한다” 이게 80년대 초중반이라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데 그 때 아젠다로도 페미니즘과 ESG가 제일 먼저 등장해서 살짝 놀랬네요. 세상이 많이 바뀐 것 같으면서도 그대로인 것 같아서요. 요즘 한국이라면 저기에 인공지능과 마약 문제 정도가 들어갈 것 같습니다.
아무튼 하루키는 이런 상황에서 무력감과 초조함을 느끼고 과감히 유럽으로 떠납니다. <먼 북소리>에서는 당시 서른일곱 살이었던 하루키의 불안함과 자괴감들이 직접적인 표현 없이도 고스란히 잘 전달이 되어요. 본국과의 연락을 끊고 그리스 외딴섬에 본인을 유폐하다시피 쓴 책이 바로 <노르웨이의 숲> 그 뒤는 우리들이 너무나 잘 아는 스타 작가의 탄생이지만 왠지 저는 이렇게 유명 작가가 되기 전, 고뇌하고 불안해하는 한 젊은 소설가의 쓸쓸한 이국 체류기에서 많은 위로를 받게 되네요.
나는 “남은 음식”이라고 해야 할 그 팬케이크를 작게 잘라 먹으면서 문득 나폴레옹의 군대가 러시아에서 철수할 때의 일을 생각해 보았다. 너무나도 힘들고 얻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철수전. 눈 덮인 벌판을 이리저리 날뛰는 코사크 병사. 눈보라, 포성.
[그믐밤] <먼 북소리> p.167
@김새섬 와타나베, 그렇죠 소년 와타나베, 청년 와타나베, 그리고 이제 장년의 와타나베까지요 ^^ 때로는 그 이름을 '카프카(『해변의 카프카』)'라고도 하고, '오카다 토오루(『태엽 감는 새』)'라고도 하고, 조금 다른 듯한 느낌으로 '덴고(『1Q84』)'라고도 하지만 결국 같은 인물이지요 내성적이고, 책을 많이 읽고, 음악을 많이 들으며, 혼자 요리하여 간단한 술과 함께 먹는 것을 즐기는 생각이 깊은 남자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니까요
저는 아무래도 『1Q84』의 아오마메를 꼽지 않을 수가 없네요 워낙 좋아해서 靑豆라는 닉네임을 쓴 적도 있답니다 ^^ 하루키는 (장편소설에서) 20년 동안 1인칭 화자를 써왔다고 알려져 있는데, 단편소설에서는 여성 주인공, 여성 화자를 내세운 작품도 볼 수 있거든요 하루키가 '다양한 세계관과 관점이 어우러진 종합소설'을 쓰기 위해 인칭을 변화시키게 되면서, 장편소설 『1Q84』에서는 (덴고와 밸런스를 유지하기는 했지만) 아오마메라는 걸.출.한. 여성 주인공을 등장시키고 있는데요 1인칭에서 3인칭으로의 변화, 남성 주인공에서 여성 주인공으로의 변화와 더불어, 무심함을 가장하고 회피하거나 일부 포기하며 수용하는 주인공 대신, 강력하게 참여하는 주인공으로 변화시킨 인물이 바로 킬.러. 아오마메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날 그냥 내버려둬'에서, '힘을 모아 응징하지 않으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로 분연히 바뀌었다고 믿고 싶어요 '1980년대 후반까지 하루키의 모든 소설의 화자는 상당히 깔끔하면서도 담담하고 자폐스러우면서도 감각적인 성격과 취향이 있는 '나'에 국한돼 있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장기간 미국 체류에 따른 영향, 불혹을 넘긴 나이에 따른 작가의 내면 성장으로 말미암아 타자에서 자발하는 무심함(detachment)에서 헌신(commitment)으로 변하기 시작한 세계관이 보이기 시작한다. (나무위키 中)' 『1Q84』의 아오마메야말로, 냉정한 판단력, 출중한 실력, 강인한 체력, 놀라운 집중력, 그러면서도 정서적 공감 능력과 사람에 대한 애정으로 헌신할 자세를 갖춘 제 최애 캐릭터입니다 ♡
저는 『1Q84』를 읽지 못해서 아오마메 캐릭터를 몰라요. 『1Q84』가 기존 하루키 소설과 결이 많이 다르다고 하더라구요. 내면으로 침잠하는 다른 소설들에 비해 이 작품은 바깥 세상과의 연결고리를 보여주고 이야기의 재미적 요소도 뛰어나다고 들었네요. 아오마메라는 인물의 이름을 들으니 '에다마메'라는 이자카야의 초록콩 안주가 의식의 흐름대로 떠오르네요. 다음에 읽을 하루키 책은 『1Q84』가 될 것 같아요.
(수북강녕님과 다른 분들의 댓글에 놀라면서) 하루키 소설에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를 고르기엔 저는 기억력이 부족하여 지금 읽고 있는 "해변의 카프카"에서라도 골라보려고 했습니다만.. 주인공 고무라 카프카에서부터 시작하여 한명씩 떠올리니 "가장 좋아하는" 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기엔 모든 인물들이 성격적인 결함과 함께 하나씩은 마음에 걸리는 점이 있어 제가 개별 인물에 공감해서 하루키 소설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예를 들면 지금 막 上권을 다 읽은 시점에서는 해변의 카프카에서는 아무래도 "오시마상"이 가장 유력한 후보였는데요. 하루키 소설의 다른 캐릭터처럼 오시마상은 문학, 음악 등에 박학다식할 뿐만 아니라 확실한 취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려한 말솜씨를 자랑하는 조력자의 역할입니다. 하지만 도서관 실태조사를 하러 방문한 여성단체 회원들과의 대화 장면을 보면 물음표🙄가 떠오르면서 하루키는 캐릭터의 성적 취향을 드러내는 방식을 꼭 이렇게 했어야 했을까하는 의문이 남습니다.
@hongsul 오시마상이야말로, 제가 가장 원하는 도서관 사서의 모습인 것 같아요 『도불벽』의 도서관장은 상당히 부담스러운데 (의상이나, 지하 패닉룸이나, 다른 기묘한 사건들까지), 오시마상이 마주하는 사건들도 하권으로 갈수록 꽤 부담스러워지지만 그래도 평상시에 아주 할 만한 사서라는 생각이 들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박학다식하고 취향도 고급스럽고 소통능력도 좋고요 ♡
저는 읽은 책이 미천해서 굳이 찾아보자면, 하루키 에세이의 주인공 하루키인 것 같습니다. 일단, 하루키 열풍 속에서도 하루키 작품을 소싯적에 읽지 않았던 건 주변 사람들의 지나친 우상화!와 열광이 꼴 보기 싫어서였던 것 같아요. (ㅎㅎ 뭐 어렸을 때니까요.) 그런데 희한하게 장편은 읽을 생각을 한 번도 안 했는데 단편집과 에세이는 조금 읽게 됐어요. 아마도 출판사의 엄청난 마케팅 때문이었다고 생각해요. 하루키 근작이라 그런지 제 인상에 강하게 남는 작품은 없었어요. 에세이를 읽었을 때 하루키 씨는 조금 귀엽기도 하고 애 같기도 하고 성숙한 어른 같기도 하고 좀 다양한 면이 보이는 것 같아요. 지나치게 시대적이거나 정치적이지도 않고요. 그래서 저는 그 분명하지 않는 지점들 때문에 하루키 씨에 빠지지 않았던 것 같고요. 그리고 곱씹게 되는 문장이 또 제 눈엔 잘 안 걸리더라고요. 어떤 책은 매 페이지에 인덱스가 붙었는데 지금 읽는 하드보일드도 그렇고... 티셔츠와 재즈를 좋아하는 것은 무척 마음에 들지만요. ㅎ 참, 제 친구는 상실의 시대를 읽고 나서 미도리사워를 늘 마셨거든요. 이유는 기억 안 나고 책에 미도리라는 여자가 나오는 건 알아요. 책에도 칵테일이 나오나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밀리의 서재로 📙 읽기] 23. 종이 동물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