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제4권을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문장을 적어주세요.
[그믐북클럽] 9.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함께 완독해요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마키아벨리1
교묘하고 대담한 방책은 처음 들었을 때는 좋아 보이지만, 실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끝은 대개 해로운 법이오. 또한, 내가 보기에 새 시뇨리는 내부의 불화보다 외부와의 새 전쟁을 더 두려워하고 있소. 하지만 만일 새 시뇨리는 뭔가 새로운 변화를 꾀한다면 이는 눈에 띄지 않고 진행될 수 없으므로, 군사를 일으켜 공공의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조치를 취할 시간을 항상 충분할 것이오. 그리고 부득이하게 행해진 일들만이 사람들을 덜 놀라게 하며, 그만큼 우리의 책임을 덜 수 있소.

거북별85
“ 공화국으로 불리는 도시들, 특히 그 제도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은 도시들은 많은 이가 생각하는 것처럼 자유와 억압 사이가 아니라, 억압과 방종 사이를 번갈아 오가며 자주 그 통치자와 정부 형태를 바꾼다. 방종의 대리인인 평민이나 억압의 대리인인 귀족이 모두 찬양하는 것은 오직 자유라는 이름뿐이지만, 그들 중 누구도 법이나 통치자한테 기꺼이 복종하려 들지 않기 때문이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제 4권 p31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평민은 방종을, 귀족은 억압을 자유라 부르며 자기들 마음대로 나라를 다스린다.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제4권 p31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p315
전제적인 정부는 선량한 사람들을 불쾌하게 하고 방종한 정부는 현명한 이들을 불쾌하게 하며, 전제적인 정부는 쉽게 악을 행하고 방종한 정부는 아주 드물게만 선을 행하며, 전제적인 정부에서는 오만한 사람들이 그리고 방종한 정부에서는 어리석은 사람들이 너무 많은 권한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제적인 정부와 방종한 정부는 모두 틀림없이 단 한 사람의 미덕과 행운에 의지해 유지될 수 밖에 없는데, 문제는 그가 이런저런 방해와 불운으로 쓸모없어지거나 아니면 어느 날 갑자기 죽어 버릴 수도 있다는 점이다.

거북별85
“ 그렇게 유력한 평민들은 매일 사악한 행동으로 대중의 증오를 나날이 키웠고, 자신들도 해를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전혀 없었기에, 나중에 자신에게 해가 될 것 같은 행동들에 대해 조금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아니, 그들은 서로에 대한 시기로 심지어 스스로 위험의 씨앗들을 조장하기도 했으며, 그 결과 메디치 가문이 권력을 회복할 기회를 제공했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p316,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주지하다시피, 상황에 맞게 사람을 이용하는 것이 정치입니다.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제 4권, p330,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가와책읽기
“ 공화국으로 불리는 도시들, 특히 그 제도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은 도시들은 많은 이가 생각하는 것처럼 자유(리베르타)와 억압(혹은 그 결과로서 예속)사이가 아니라, 억압과 방종(리첸차 licenza) 사이를 번갈아 오가며 자주 그 통치자와 정부 형태를 바꾼다. 방종의 대리인인 평민이나 억압의 대리인인 귀족이 모두 찬양하는 것은 오직 자유라는 이름뿐이지만, 그등 중 누구도 법이나 통치자한테 복종하려 들지 않기 때문이다( 즉 평민은 방종을, 귀족은 업압을 자유라 부르며 자기들 마음대로 나라를 다스린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제4권 제1장 p. 31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신이나
“ 그렇지만 전쟁을 준비하자는 의견이 평화를 유지하자는 의견보다 우세했기 때문에 얼마 후 10인회가 선출되고 군대가 소집되었으며 새로운 세금이 부과되었다
그런데 이 새로운 세금이 높은 계층의힘있는 시민들보다 낮은 계층의 힘없는 평민들에게 더 무겁게 부과되었다. 그 바람에 도시는 불만과 원성으로 들끓었고 모두가 권력자들의 야심과 탐욕을 욕하며 권력자들이 자기 욕망을 만족시키고 힘없는 이들을 짓밟고 억누르기 위해 필요하지도 않은 전쟁을 조장하고 있다며 힘 있는자들을 맹비난했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신이나
익숙한 문제는 늘 발생하는군요

호디에
“ 훌륭한 법과 제도로 다스려지는 도시는 다른 도시들과 달리 더 이상 어느 한 사람의 미덕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 이런 성격의 법과 제도를 갖춘 많은 고대의 공화국들은 하나의 정체 아래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p31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디에
“ 오랫동안 유지된 제도는 바꾸지 않는 것이 선량하고 현명한 시민의 의무라고 나는 믿고 있소. 오랫동안 유지된 제도를 멋대로 조작하는 것보다 도시에 더 해로운 것은 없으며, 또 그러한 변화는 많은 이를 불쾌하게 만드는데, 그런 곳에서는 매일 무언가 끔찍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을까 두려워하며 살게 되기 때문이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p332 / 조반니 데 메디치,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지금
저희가 겪은 고통보다 더 나쁜 일을 겪을 수 없다는 사실이 저 희에게 이 말을 할 용기를 주고 있습니다.

지금
이 전쟁들은 꼭 필요해서가 아니라 유력자들을 더 부자로 만들기 위해 시작되었기 때문이오.

호디에
“ 나랏일을 하며 안전하게 살려면 법과 동료 시민들이 너희에게 주는 만큼만 받아야 한다. 사람이 미움을 받는 이유는 기꺼이 그에게 준 것 때문이 아니라 그가 스스로 부당하게 가져간 것 때문이니, 주는 만큼만 받아들이면 시기를 받지도 또 위험에 빠지지도 않을 게다. 그리하면 남의 것을 탐하다가 자기 몫마저 잃거나, 심지어 자기 몫을 잃기도 전에 끝없는 불안과 걱정 속에 사는 자들보다는 분명 더 잘살 수 있을 게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p345,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디에
“ 그는 겉보기에는 침울해 보였지만, 대화기 시작되면 상냥하고 재치가 넘쳤다. 그는 죽었을 때 엄청난 부자였지만, 그의 덕망과 명성 은 그의 재산보다 훨씬 더 컸다. 조반니의 막대한 재산과 훌륭한 정신적 자질은 아들인 코시모에 의해 계승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확대되었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p346,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또한 본래 인간은 받은 이익에 보답하기보다 당한 침해에 복수하려는 경향이 더 강하고, 또 은혜를 갚는 것은 무언가 손해를 보는 기분이지만 복수는 즐거우면서도 이득이 되는 일이라 믿기 때문에 적들은 친구가 그 주창자를 옹호하기보다 더 맹렬히 공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4권,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지니
“ 공화국으로 불리는 도시들, 특히 그 제도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은 도시들은 많은 이가 생각하는 것처럼 자유와 억압 사이가 아니라, 억압과 방종 사이를 번갈아가며 자주 그 통치자와 정부 형태를 바꾼다. 방종의 대리인인 평민이나 억압의 대리인인 귀족이 모두 찬양하는 것은 오직 자유라는 이름뿐이지만, 그들 중 누구도 법이나 통치자한테 기꺼이 복종하려 들지 않기 때문이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p31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지니
“ 전제적인 정부는 선량한 사람들을 불쾌하게 하고 방종한 정부는 현명한 이들을 불쾌하게 하여, 전제적인 정부는 쉽게 악을 행하고 방종한 정부는 아주 드물게만 선을 행하며, 전제적인 정부에서는 오만한 사람들이, 그리고 방종한 정부에서는 어리석은 사람들이 너무 많은 권한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p315,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이플레이
4-2
"그렇지만 상황이 바뀌면 의견 역시 달라지고, 군중은 자신의 것을 지키는 것보다 남의 것을 빼앗는 것을 훨씬 더 좋아한다. 또한, 인간은 잃을 두려움보다 탐욕에 훨씬 더 쉽게 끌린다. 상실은 만일 그것이 가까이 있지 않으면 크게 신역 쓰이지 않지만, 획득은 비록 그것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조차 기대로 흥분되기 때문이다." 351쪽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