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세계와 시민 '아고라'조 『나의 직업 우리의 미래』 독서모임

D-29
*모임 참여자 제한을 풀었습니다.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했으면 합니다. 모임 기간도 최대로 열어 놓았으니 언제든 보시고 의견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이 모임은 경희대학교 '세계와 시민' 교과목 '아고라'조에서 <건전한 온라인 토론 문화 정착 방안-독서 모임 플랫폼 '그믐'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진행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저희는 11/21(화)부터 일주일간 『나의 직업 우리의 미래』를 읽으며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주제를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통상적인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말하고 듣는' 방식의 뜨거운 논쟁이 아닌 '읽고 쓰는' 방식의 이성적인 대화를 나누고자 합니다.(해당 내용은 장강명 작가님의 저서 『책, 이게 뭐라고』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이슈에 관해 건전한 토론이 이루어지는 대안적인 공간으로써 그믐을 활용할 수 있다는 걸 보이고 싶습니다. 혹시나 저희가 진행하는 모임을 보시고 관심 있으신 분은 설문조사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A-sfX4smt3JVaRdrdVTLKDq__NlrAdaLTpk-MB2Fov3jhaA/viewform
화제로 지정된 대화
3장 <'탈스펙'과 탈학벌, 노동 시장의 변화>에서 저자는 탈학벌의 두 번째 원인으로 정기 채용에서 수시 채용으로의 변화를 꼽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채용 시장이 아직 과도기에 있기에 여전히 학벌과 스펙을 따지면서도 전문성에 대한 정성적 평가가 혼합되어 있다고 말합니다.(114~118쪽) 제가 이 대목을 읽으며 떠올린 첫 번째 사회적 이슈는 조국 전 장관 딸 조민 씨의 부정 입학 의혹 사건인데요, 관련 사건을 중립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상반된 입장의 기사들을 시기별로 스크랩 해봤습니다. - 박찬수, "어찌 이리도 모진 것이냐", <한겨레>, 2021.03.03.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85285.html - 조일훈, "무관용 사법만능시대 조민을 생각한다", <한국경제>, 2022.04.13.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2041341591 - 이진순, "내로남불, 그들만의 리그", <한겨레>,  2022.04.19.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39539.html - 김희진, "재판부가 본 조국 혐의 “입시 부정, 부부가 공모…딸 장학금, 대가성 없어 뇌물 아냐”", <경향신문>, 2023.02.03. https://m.khan.co.kr/national/court-law/article/202302032102005#c2b - 김민주, ""입학 취소 가혹" 조민 측에…"공익 더 중대하다" 판단한 法", <중앙일보>, 2023.04.0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3023 - 허동준, "조민 “입시비리 혐의 모두 인정” 입장 바꿔", <동아일보>, 2023.10.20.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1020/121756081/1 그런데 기사를 좀 더 찾다 보니 이게 유명 정치인이 저지른 사건이라 수면 위에 드러났을 뿐이고 비슷한 문제가 그간 반복되어 벌어졌다는 걸 알 수 있었는데요, 이를테면 자기 논문에 자녀를 공동 저자로 올린 교수 중에는 서울대 교수가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여전히 우리 사회가 학벌주의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 신하영, "'아빠 찬스'로 논문저자 된 자녀 9명 서울대 입학", <이데일리>, 2021.10.15.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04406629213248&mediaCodeNo=257 - 김은경, ""‘아빠 찬스’ 중고생 논문 1033건… 96건만 부정 판정", <조선일보>, 2022.04.26.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2/04/26/2OMG5GUZ4RA3JGXY2FULUKO7BQ/ 이것을 놓고 여러 이야기를 할 수 있겠지만, (1) '왜 대학교수 자녀의 입시 부정이 반복되는가?' (2) '이런 일이 반복되었을 때 문제 되는 것은 무엇인가?'에 관해 한 번 대화 나눠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